UNIST “녹나무 유래 물질로 태양전지 효율·수명 향상”
이전
다음
'캠퍼퀴논'의 단계적 승화 특성 활용해 고품질 박막 합성
이미지 확대
연구 그림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녹나무 유래 물질로 태양전지 박막의 품질을 높이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제시했다.
29일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양창덕 교수팀이 녹나무 추출물인...
식물의 탄소 흡수량 1시간 단위로 예측하는 AI 모델 개발
이전
다음
UNIST, 기상위성 관측 자료 AI에 학습시켜 추정
이미지 확대
연구진 모습
UNIST 임정호 교수(왼쪽)와 제1저자 배세정 연구원.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식물의 탄소 흡수 작용을 시간 단위로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분석 기술을...
중고생에 STEM 진로탐색…울산과학기술원, 청년 멘토단 :: 공감언론 뉴시스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청년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멘토단 1기 출범식에서 재학생 멘토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울산과학기술원 제공) 2025.04.15.
*재판매 및 DB 금지
구미현 기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지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과 진로를 연결하는 다양한 교육...
“양자, 빛으로 찾았다”…UNIST, 키타예프 양자 액체 특성 검출 :: 공감언론 뉴시스 ::
손창희·유정우 교수·연세대 김재훈 교수와 공동 연구양자 컴퓨터 소재 개발에 도움…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게재
구미현 기자 = UNIST 연구진. 사진 좌측 하단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손창희 교수, 강백준 연구원(제1저자), 최욱삼 연구언(제1저자), 서의현 연구원, 박미주 연구원, 김계현 연구원....
UNIST, 미세영역 측정 ‘나노온도계’ 개발
권오훈 교수(뒤)와 박원우 연구원(앞줄 왼쪽), 최예진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이 초미세 상태의 물질 온도와 구조 변화를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나노측정기술을 개발했다. 미세 시료의 특이 구조와 열역학적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어 첨단 소재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울산과학기술원(UNIST·총장...
UNIST, 논문 질 평가 라이덴 랭킹서 8년 연속 국내 1위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상위 10% 논문 비율 13.1%세계 순위도 150위로 반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전경. (사진=UNIST 제공)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안정섭 기자 = 울산과학기술원(UNIST)는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네덜란드 라이덴랭킹에서 8년 연속 국내 1위에 올랐다고 4일...
울산 과학영재학교 설립 순항할까…’울산과학기술원법 개정안’ 발의
하늘에서 본 UNIST. © News1
국민의힘 김기현(울산 남구을)·서범수(울주군) 의원이 4일 ‘울산과학기술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해 UNIST(울산과학기술원)...